☆ 건설 소식 ☆

건설업회생 특단의 대책 나와야

그린맨 이재희 2010. 7. 8. 12:02

 

대형건설사들의 상반기 건설공사 수주실적이 나왔다.

 좋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은 했지만 나타난 결과가 생각보다 훨씬 저조하다.

 대부분 기업들이 목표 대비 30%에도 못 미치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사실 올해 공공공사수주가 좋지 않으리라는 점은 이미 예견돼 왔던 일이다.

 정부가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부양책으로 지난해 유례없이 많은 양의 건설공사를 쏟아낼 때부터 올해의 실적부진은 예상됐다.

 하지만 수주실적 감소폭이 예상치를 크게 벗어나 건설업계가 당황하고 있다.

 이를 하반기에 만회해야 하나 여건은 그리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대기 중인 공사물량이 기대치에 훨씬 못 미친다.

 게다가 이달 바뀐 야권 성향의 지자체장들이 기존 계획을 전면 재검토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상당수 신규 건설 및 개발사업이 대거 축소되거나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 공공건설시장이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은 부동산 부문도 마찬가지다.

 주택시장이 장기침체를 지속하고 있는 데다 미분양 적체 등으로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다.

 중견사들뿐 아니라 대형사들도 미분양 처리에 애를 먹고 있다.

 그나마 위안으로 삼을 수 있는 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해외건설이다. 하지만 해외건설도 수익성이 예전만 못하다.

 경기 회복을 빌미로 가시화되고 있는 출구전략도 건설업계엔 부담이다.

 출구전략의 핵심인 금리가 인상될 경우 건설업계 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칠 게 분명하다.

 건설사들은 지금도 불황을 견디기 위해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많이 빌리거나 채권발행을 늘리고 있다. 은행에 낸 이자비용이 이자수입의 2배에 달할 정도다.

 금리가 인상되면 경영실적이 나쁘거나 재무구조가 부실한 건설사들은 이자 부담과 대출금상환 압박에 직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건설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주택대출규제 완화 등 실질적인 지원책은 전혀 검토하지 않고 있다.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워낙 좋다 보니 죽어가는 주택시장은 개의치 않는 듯하다.

 오히려 최근 들어 금융권은 신규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을 제한하고 기존 PF 대출채권에 대해서도 회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연말이나 내년 이후 PF 부실이 또다시 사회문제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건설업체 스스로 타개책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이지만 뾰족한 방도가 없는 듯하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업체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해외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모든 건설업체들이 해외로 나갈수는 없는 노릇이다.

 실제 해외시장도 만만치 않다.

 최근들어 유럽발 경제위기에 따른 유로화 약세를 등에 입은 해외경쟁사들의 저가공세가 심해지면서 수주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스스로 경쟁력을 키우지 않고는 살아남기 힘든 구조에 직면한 것이다.

  지금까지 건설업이 숱한 위기를 넘어선 것은 각고의 구조조정과 기술개발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문에 무엇보다 포커스를 맞출 필요가 있다.

 건설업체 실정에 맞는 수주전략과 분양전략을 꼼꼼히 살펴야 함은 물론이다.

 정부도 건설업계는 이만큼 도와줬으면 됐다는 안이한 인식에서 탈피해 현실에 맞는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땜질식 처방보다는 진정 건설업계를 살릴수 있는 특단의 대책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출처: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007071454547240160